(스프링)DI란?

객체 내부에서 직접 호출(new 연산자) 하는 대신에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해서 넣어주는 방식

두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1. 생성자 주입

생성자를 통해 의존 관계를 주입하는 방법

주입받은 객체가 변하기 않거나 객체의 주입이 필요한 경우 사용된다.

@RequiredArgsConstructor 사용시 final 로 지정한 경우 @Autowired 를 생략 가능

 

실무에서 사용시 제일 추천하는 방식

 

2. 필드 주입

필드에 바로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함 

 

 

3. 수정자(Setter) 주입

수정자(Setter) 를 통해서 의존 관계를 주입하는 방법

주입받는 객체가 변경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사용 

'Spring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uration  (0) 2023.09.08
spring  (0) 2023.08.31
@RequestBody, @ResponseBody  (0) 2023.08.21
Spring Boot 설정하기(on site)  (0) 2022.09.23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  (0) 2022.08.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