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성한 프로젝트를 깃 또는 저장매체등을 통하여 서버에 저장

2. 저장한 react app을 돌리기 위한 필수 프로그램 설치

  - nodejs 설치

  - npm 설치

3. 프로젝트의 package.json  이 있는 폴더로 이동

4. npm start 로 실행

 - 버전이 다르면 실행에 문제가 될수 있음 nodejs 버전 확인 필수  

자동 실행 혹은 계속 실행 상태로 두고 싶다면 bash 스크립트 생성 필요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류) /bin/sh: react-scripts: command not found  (0) 2023.08.10
리덕스(Redux) 를 쓰는 이유  (0) 2023.08.10
React 초기 설정하기  (0) 2023.08.10

npm start 실행시 /bin/sh: react-scripts: command not found 발생한 경우 

npm install -save react-scripts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app 리눅스 서버에서 실행하기  (0) 2023.08.23
리덕스(Redux) 를 쓰는 이유  (0) 2023.08.10
React 초기 설정하기  (0) 2023.08.10

컴포넌트에서 컴포넌트로  변수나 어떤 값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props를 사용하여 해당 값을 사용할 컴포넌트까지 계속 전달 해주어야 값을 전달 받거나 변수를 사용가능하다.

컴포넌트가 적거나 전달해야 할 변수가 적다면 크게 문제가 없지만 전달해야 변수나 컴포넌트가 단계가 깊은 경우 매우 많은 작업이 필요해진다.

 

하지만 리덕스를 쓰면 깊이에 상관없이 불러와 쓸수 있으며 해당 값이 바뀌게 되면 리렌더링을 하게 되어 편리하다.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app 리눅스 서버에서 실행하기  (0) 2023.08.23
(오류) /bin/sh: react-scripts: command not found  (0) 2023.08.10
React 초기 설정하기  (0) 2023.08.10

1. 터미널 접속

2. 작업할 폴더 이동  cd c:/프로젝트 폴더

3.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명 입력 (node.js 설치 필수) // 리액트 세팅이 완료된 프로젝트 생성

4. npm start 로 작성된 프로젝트 실행 가능 

 

+ Recent posts